안녕하세요!
오늘은 <바람스페셜> 3회를 학우분들에게 소개하려 합니다.
<바람스페셜>은 교내 문제점이나 큰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바람이 준비한 특별기획 컨텐츠입니다.
지식채널e의 형식을 차용해서 가천대의 4대 이슈를 미니다큐로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총 4부작으로 기획됬고 1주일에 한 편씩 업로드될 예정입니다.
학우 여러분들 모두 저희 가천대가 예전에 경원대학교라는 이름을 썻다는건 잘아실껍니다.
그렇다면 예전 1980~90년대 경원대가 이른바 '운동권'으로 유명했다는 사실도 알고계시나요?
'운동권'이란 [명사] 노동 운동, 인권 운동, 학생 운동 따위와 같은 사회 변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의 무리.
를 뜻합니다.
민주화 운동이 매우 활발했던 1980~90년대
경원대에서 분신자살 사건이 일어나 한 학우가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바람스페셜> 3회의 주제는
'천세용, 그는 왜 분신을 택했나'입니다.
정말 안타까운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당시나이 21살, 한창 청춘을 즐길 대학교 2학년 생이 민주화를 외치며 분신자살을 했다는 사실이
학우 여러분들은 믿겨지시나요?
(아래로 내려가시면 91년 당시 교지에 기록된 만화, 추모글, 사고현장사진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91년 경원대 교지 <취경>을 보면
당시 대학생들은 취업, 스펙, 연애에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군사독재정권을 규탄하고
매일 대자보를 써붙이고 집회에 참석해 투쟁하는 것이 일상이었습니다.
그 와중에도 소위 '운동권' 학생과 그런것을 멀리하는 '비운동권'학생이 나뉘는 경향도 나타났습니다.
당시 사회적 상황이 워낙 혼란스러워서 대학도 휴교령이 내려지기 일쑤였고
학생들은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투쟁, 사명, 파쇼, 동지'등의 표현을 자주 썻습니다.
당시 교지에 주변 학우들의 심경을 잘 나타내주는 글이 있어서 옮겨 적어봅니다.
이번 화를 제작하며 지금의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선배님들이 참 많다는 걸 다시금 느꼇고
지금 저희가 당연한 듯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 사회에 감사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아야 겠습니다.
다시한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로!)
그렇다면 故 천세용 선배님과 당시 1991년 민주화 시위는 어떤 관련이 있었을까요?
학생들은 노태우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연세대학교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4월 29일 전남대학교 학생 박승희가 강경대 사건 규탄집회 중 분신하였고 이어서 5월 1일 안동대학교 학생 김영균, 5월 3일 경원대학교 학생 천세용, 5월 8일 전민련 사회부장 김기설, 5월 10일 노동자 윤용하 등이 잇따라 분신하여 이른바 '분신정국' 이 조성되었다. 이로 인해 민주화에 소극적이던 노태우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들끓게 되자, 노태우 정권은 5월 8일에 노태우 정권을 비난하며 자살한 전민련 사회부장 김기설의 유서를 전민련 총무부장 강기훈이 대필했다는 소위 유서대필사건까지 조작하면서 사건을 덮으려 하였다. 약 60여일 동안 분신 또는 의문사 등으로 총 13명이 사망하였으며, 총 2,361회의 집회가 있었다. 민주화를 위한 이 시도는 실패하였지만, 1993년에 김영삼이 대통령이 되면서 문민정부가 들어섰으며, 노태우와 전두환은 구속 수감되었다.
- 1990년 서울 동북고 졸업
- 경원대학교 90학번으로 전산과(2부) 입학
- 1990년 3월 경원대힉교 민족사 연구회 ‘한얼’에서 활동
- 1991년 5월 3일 오후 3시경 ‘강경대 학우 폭력 살인자행한 노태우 정권 타도를 위한 결의대회’
- 도중 분신 후 투신하여 운명(당시 나이 21세)
아래부터는 91년 교지 스캔본입니다
'특집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 그리고 2012 (2) | 2012.12.25 |
---|---|
[가천대 바람] <바람스페셜 4화> 어느 12학번의 고민 (1) | 2012.12.21 |
[가천대 바람] <바람스페셜 2화> 도약하는 2013 가천대 (4) | 2012.12.08 |
[가천대 바람] <바람스페셜 1화> 가천대 통합의 역사 (5) | 2012.11.30 |
[가천대 바람] 여러분 나비가 되어 꿈을 향해 날아가십시오, 김난도 교수 (1) | 201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