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가천대 시사노트 정주헌입니다.
이번 5회는 최근 이슈가 되었던 '동해 표기 청원서명'을 통해
동해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저번주에는 'We are the world'를 외쳤지만
오늘은 '대한민국 만세'입니다.
오늘은 글 쓰다가 개인 감정 마구 삽입합니다.
(그래도 여러분은 한국사람이니까 이해해주시리라 믿어요!)
(학창시절 이공계열이었던 관계로, 역사와 지리에 매우 취약하므로 틀린 부분은 무조건 지적!!!해주세요)
(들어가기에 앞서 모 사이트에 개제된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 증거라고 할 순 없지만 유쾌한 답변입니다.)
그럼 시사노트 5회, 시작합니다.
INTRO
일본(의 일부 정치인 등)은 지금까지 계속해서 독도를 竹島(다케시마)라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
그리고 또한 동해(East Sea)도 일본해(Sea of Japan)이라고 주장해오고 있습니다.
1. 동해 표기 청원서명
<백악관 민원 웹사이트 'We The People' 동해 표기 청원 서명 게재 글>
이는 지난달 22일 미국 버지니아주 한인회를 중심으로
'아이들이 진주만 침략자들이 조작한 역사 대신 진실한 역사를 배우는 권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해달라'
는 요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덕분에(?) 백악관에서는 동해 표기 문제에 대해 서명운동을 받기로 했고
25,000명 이상이 서명할 경우,
백악관에서 공식적인 답변을 준다는 것이죠.
결과적으로는 91,222명이 서명, 이 중 '일본해 유지' 청원은 1만 9천여 명.
공식답변을 들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명 기간 중에 수도 없이 인터넷과 SNS를 통해 많은 글들이 올라왔는데요,
그 중 서명에 참여하지 말라는 내용도 있더군요...
내용인 즉
"동해 표기문제를 분쟁화 시키려는 일본의 저의가 무엇일까요.
역사적으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할 명분이 없는
일본의 목적은 이 문제를 국제적 분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단순한 동해표기 문제를 넘어 독도 영유권 문제까지 분쟁화시켜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해 자국에 유리한 결론을 이끌려는 의도입니다." 는 내용입니다.
일부 일리있는 주장이라고 생각될지도 모르나,
반대로 생각해보면,
그냥 일본의 주장을 방치하자는 소리와 같습니다.
"지들은 떠들든 말든 우리는 가만히 있자. 어차피 우리거니까."
결과적으로 '일본해 유지' 서명은 1만9천여 건으로 그치긴 했지만
만약 '일본해 유지' 서명 단독으로 25,000건이 넘어갔다고 생각해봅시다...
서명을 하지말라고 독려한 것이 잘 한 것일까요?
2. 동해는 왜 동해인가!
<아국총도(我國摠圖)>
동해가 옛적부터 동해로 불리웠다는 역사적 자료는 매우 많습니다.
<삼국사기>, <광개토 대왕릉비>, <신증동국여지승람 ─ 팔도총도(八道總圖)>, <아국총도(我國摠圖)>
를 비롯한 다양한 사료와 고지도에서 동해(東海)라고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도별군현지도집인 <영남지도(嶺南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경주도회좌통지도(慶州都會左通地圖)>,
<관동승람(關東勝覽)>, 전국군현지도집인 <여지도(輿地圖)> 등과 관방지도인 <서북계도(西北界圖)>에
'동해' 지명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특히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의 동명왕에 대한 부분에서 동해라는 지명이 나옵니다.
"북부여국의 자리에 고구려가 건국될 것이니 북부여는 이곳을 피하여 동해가의 가섭원으로 나라를 옮기라" 는 내용입니다.
이 기록은 동해라는 명칭이 삼국이 건국되기 이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외국 지도에서 동해 지명은 18세기까지 대부분 'Sea of Corea'로 기록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들어 유럽에서 일본을 중심으로 아시아가 소개되고,
19세기말부터 일본이 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외무성의 주장에 따라 'Sea of Japan'으로 기재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일본해' 지명은
'두 국가에 인접한 해양지명은 어느 한 국가의 국명을 사용할 수 없다'는
UN의 지명 명명원칙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해-일본해 병기 표기, 일본이 거부하는 이유>. 오마이뉴스. 2011.08.0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08841)
OUTRO
정말 일본의 일부 인간들이 독도랑 동해 발언할 때마다
짜증이 밀려옵니다. 인내심의 한계를 경험하게 되죠.
이 문제들은 제 3자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자신의 문제입니다.
누군가는 정치하는 사람들이 잘 했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맞는 말입니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러분의 관심, 그리고 참여가 중요합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만 확 관심 가졌다가
좀 지나버리면 언제 그랬냐는 듯 조용해지죠...
저 또한 그런 사람 중에 하나는 아니었는지 부끄럽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평소에 관심 좀 가집시다!!!
<독도의용수비대 기념사업회 홈페이지 메인화면(http://www.dokdofoundation.or.kr/)>
마치며 존 하워드 호주 前 총리 명언...
그럼 이것으로 가천대 시사노트 5회 마치겠습니다.
즐거운 한 주 되시길 바랍니다.
다음 주에 더 좋은 모습으로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컨텐츠 > 씩군의 시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씩군의 시사노트 7회] 그들은 왜 촛불을 들었는가 ─ 광우병, 그 진실은? (12) | 2012.05.10 |
---|---|
[씩군의 시사노트 6회] 그들의 반격이 시작된다! 나꼼수 어벤져스! (8) | 2012.05.03 |
[씩군의 시사노트 4회] 다문화? 단일문화! (0) | 2012.04.19 |
[씩군의 시사노트 3회] 4.11 총선 스케치 (5) | 2012.04.12 |
[씩군의 시사노트 2회] <총선특집> 김용민을 중심으로 (0) | 201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