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사노트 정주헌입니다.
중간고사는 슬슬 마무리들 되어가시는지요?
(전 아직 2개 남았답니다 ㅠㅠ...오늘은 조금 짧아요!)
오늘은 지난 20일, 인천 송도에 유치한
GCF(Green Climate Fund)에 대해 알아봅시다.
(※ 원문 해석이 매끄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 Green Climate Fund(GCF)
<Green Climate Fund 공식 홈페이지 : gcfund.net>
GCF는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s, UN기후변화협약)
을 중심으로 만든 국제금융기구입니다.
"The purpose of the Green Climate Fund is to make a significant and ambitious contribution
to the global efforts towards attaining the goals set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combat climate change."
"Green Climate Fund의 목적은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 사회가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한 세계적 노력에 중요하고 야심찬 공헌을 하는 것입니다."
GCF는 2010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제16차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에서 공식화 됐습니다.
GCF가 논의된지 2년여 밖에 되지 않아 많은 분들이 생소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논의되고 나서는 독일의 본에 임시거처를 두고 있었죠.
지난 20일 오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한국과 독일, 스위스 등 6개 유치 희망 국가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했습니다.
(최종은 독일과의 승부였습니다.)
투표 결과 인천 송도 유치가 결정되었죠.
인천 송도 유치는 올 11월부터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제17차 기후변화 당사국총회에서 인준될 예정입니다.
(인준(認准) : <법률> 입법부가 법률에 지정된 공무원의 임명과 행정부의 행정 행위를 인정하는 일 = 승인)
GCF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선진국들이 매년 1,000억 달러씩 2020년까지 8,000억 달러를 조성하는 특별기금입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8,450억 달러에 버금가는 규모입니다.
또한 세계은행(WB)이나 아시아개발은행(ADB)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GCF의 경제파급 효과를 연 3,8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인천 송도에 유치된 것은 정말 잘 된 일인 것같습니다.
덧,
■ 부동산 '과열'
인천 송도에 GCF가 유치됨에 따라,
송도 부동산은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이 건설중인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의 경우 하루 만에 40건이 계약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GCF유치가 호재인 것은 맞지만
부동산 시장에 대해 낙관하기엔 시기상조라고 보고 있습니다.
언론에서는 "유치 성공" 이야기 외에
"부동산 호재, 과열, 수혜주" 등에 대한 기사만 연일 쏟아내고 있습니다.
GCF라는 국제기금이 국내에 들어오는 것보다
그로인해 발생하는 경제효과 혹은 그로인해 얻을 수 있는 개인의 경제적 욕구 충당으로만
시선이 집중되는 것이 다소 안타깝습니다.
(경제가 국민의 삶과 직면하는 것은 맞지만, 부동산에 너무 과다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부분에서…
물론 부동산 시장이 활성화 되길 기원합니다.
투기말고 적절한 가격에 모두 자신의 집, 혹은 전세를 갖고, 생활이 가능한 선에서 말입니다.)
(관련포스팅 : http://gachon.tistory.com/entry/씩군의-시사노트-12회-재테크)
"인천 송도에 땅 사놓을 걸…"과 같은 생각을 하기 이전에
GCF의 의미와 국내 유치가 갖는 의미를 되새겼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시사노트 21회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합니다(__)
출처 :
Green ClimateFund 공식 홈페이지 : http://gcfund.net/
UN 공식 홈페이지 게재 문서 <Climate Financing for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http://www.un.org/womenwatch/daw/csw/csw56/panels/panel4-presentation-Schalatek.pdf
박준철. <경향신문>.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인천 유치 내일 결정]. 2012.10.17.
이정선. <한국경제>. [송도, GCF '훈풍'…한 단지서만 계약 40건]. 2012.10.22.
'지난컨텐츠 > 씩군의 시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씩군의 시사노트 23회] 나로호, "나의 우주선은 당신의 것이오!" (5) | 2012.11.07 |
---|---|
[씩군의 시사노트 22회] 김제동과 소셜테이너 (9) | 2012.10.31 |
[씩군의 시사노트 20회] 포털의 '정치 중립'과 "NLL" vs "정수장학회" (2) | 2012.10.17 |
[씩군의 시사노트 19회] 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 (6) | 2012.10.10 |
[씩군의 시사노트 18회] "투표시간 연장!", 당신의 생각은? (20) | 2012.10.03 |